"한인사회는 지금 세대교체 중"

by 벼룩시장 posted Feb 10,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동부 최대 생활정보지 벼룩시장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美 거주 한인 1.5세, 2세들, 주류사회로 속속 진입

동아일보 특집보도…밀레니얼 세대는 한류의 첨병

020828.jpg

 

한국의 유력 일간지 동아일보가 최근 박용 뉴욕특파원을 통해 “뉴욕한인회와 퀸즈한인회 회장과 임원진이 한인 1.5세, 2세로 점차 교체되고 있다”며 한인사회의 세대교체를 특집기사로 다루었다. 

동아일보는 지난달 열린‘뉴욕한인회 주최 ‘한인의 밤’을 언급하면서, 참석자 한인 500여 명은 머리가 희끗한 이민 1세대부터 날렵한 정장과 드레스를 차려 입은 젊은 한인 1.5세, 2세들이 함께 행사장을 가득 메웠다고 보도했다.
이날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57·변호사)은 개회사에서 “오늘 참석자의 60% 이상이 이민 1세대의 자녀인 1.5세와 2세다. 1세대와 젊은 세대가 함께하는 한인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뉴욕한인회에 따르면 올해 행사의 참석자와 모금액이 한 해 전보다 50%씩 늘었고, 개인들이 수백달러에서 2만5천달러를 기부했는데, 젊은 층의 기부액수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노·장년층이 주도했던 뉴욕한인회에 대대적인 세대교체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10대에 미국으로 이민 온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은 60년 역사의 뉴욕한인회 역대 회장 중 의 첫 1.5세대 회장이다. 집행부 임원 12명 중 9명도 1.5세대와 2세로 나타났다.
이 중 20대 여성 부회장도 있다. 한인회 홍보를 맡고 있는 애리 김 뉴욕한인회 부회장(24)은 “한인회가 아직 ‘어른들의 단체’란 인식이 강하다. 더 포용적이고 더 많은 다양성을 지닌 단체로 만들고 싶어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20대 여성 부회장이자 뉴욕대 대학원생인 애리 김 부회장(25)은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한인회 소셜미디어를 운영한다. 한인회 영문 뉴스레터를 만들고 한국어에 서툰 청년 한인들을 껴안기 위해 2세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한인회 스마트폰 앱을 영어로 쓸 수 있게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뉴욕 퀸즈한인회도 세대교체가 일어났는데, 10세에 이민 온 존 안 씨(41)가 회장으로 취임했다. 그도 취임사에서 “1.5세와 2세들의 참여를 더 늘려 ‘젊은 한인회’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안씨의 직전 회장인 김수현 전 퀸즈한인회장(47.변호사)도 1.5세다.
한때 젊은 세대가 외면했던 한인회에 세대교체 바람이 불고 있는 이유에 대해 동아일보는 미주 한인사회의 인구 구성 변화를 꼽았다.
연간 한인이민자 수가 줄고 한인사회의 고령화가 시작되면서 1세대 비중이 줄고 1.5세대와 2세대 비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외한인사회연구소(소장 민병갑 교수)에 따르면 현재 한국계 이민자 중 이민 1세대 비중은 약 48%다.
이들의 직업 및 소득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1세대는 음식점, 건강관리, 교육, 세탁업 등에 주로 종사했다. 이들의 자녀인 2세대는 미국식 교육을 받고 컨설턴트, 의사, 변호사 등으로 일한다. 
퓨리서치에 따르면 미국에서 태어난 25세 이상 한인의 대학 졸업자 비중은 85%로 1세대(72%)보다 높다. 언어 장벽이 없고 미국 문화에 익숙한 젊은 한인들은 한인 사회에 새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동아일보는 민병갑 퀸즈칼리지 석좌교수를 인용, “한인 밀레니얼 세대(1980∼2000년대 초반 출생자)는 과거 세대보다 한국에 대한 자부심과 애착이 크다”며, “1960, 1970년대 미국에서 태어난 한인에 비해 1980년대, 1990년대 태어난 한인들이 한국 문화에 애착이 크고 한국계란 정체성도 뚜렷하다. 한국의 경제력과 영향력이 커지고 미국 사회의 인종적 거부감이 줄어든 영향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동아일보는 “아직 미국 사회에서 한국계의 정치적 위상이 약한 편이여서, 연방의회에 한인 2세인 앤디 김 하원의원(38·민주·뉴저지) 단 1명에 불과하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젊은 한인들이 미국 주류 사회에 진입하는 비중이 늘면서 타인종과의 결혼도 잦아지고 있다. 이에 따른 민족성 소멸 및 쇠퇴 우려도 제기된다. 
민병갑 교수는 “이민자 수가 줄고 타 인종 간 결혼이 늘고 있는 한국계는 미국에서 민족성 소멸 위험이 높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배척받는 이민자에서 미국 사회의 주류로 성장한 유대계는 대대적인 투자 및 자체 통계 작성 등을 통해 자신들의 박해 역사를 널리 알렸다. 특히 출신국에 상관없이 유대계 핏줄이 조금이라도 섞여 있으면 이들을 적극 포용해 민족성을 유지해왔다”며 한인 사회가 이를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동아일보는 “이를 바탕으로 최근 미국에서 자란 약 12만 명의 한인 입양인 등 다양한 한국계 미국인을 껴안으려는 노력도 뒤따르고 있다. 입양 후 부모의 이혼, 신청 누락 등으로 시민권을 취득하지 못한 한인 입양인은 약 1만8000명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
유익한 생활정보가 한곳에.
뉴욕 생활정보 중고물품 중고차량 생활잡화 구인 구직 취업정보 일자리 정보 물물교환 중고장터 부동산 하숙 민박 쉐어 게스트하우스 렌트
---------------------------------------------------------------------------------------------------------



Articles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